![]()
|
|
정보 |
|
---|---|
학력 |
|
경력 | o (현) (사)한국문화정책연구소 이사 o (현) 경북북도콘텐츠진흥원 이사 o (전) 한국콘텐츠진흥원 팀장 o (전) 한국게임산업진흥원 본부장 |
연구분야 | 문화예술 및 문화산업정책, 대중문화산업 제도 및 환경, 문화콘텐츠 |
기타 | o 연구보고서 2018.7.-11. [대중문화예술기획업 등록요견 대체 교육과정 개발](책임연구원 / 발주 :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1.-5. [문화예술분야 불공정행위 금지제도 운영체계 연구](공동연구원 / 발주 : 문화체육관광부) 2016.8.-12. [대중문화예술기획업 등록요건 개선연구] (공동연구원 / 발주 :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5.-10. [빅데이터를 통해 본 한국사회 대중인문학의 지형도] (공동연구원 / 발주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5.9.-2017.2. [고령화 사회의 정신건강을 위한 디지털 품앗이(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융합분야(CRC)) (공동연구원 / 발주 : 미래창조부) 2015.9.-11. [수원 오픈에어아트 프로젝트 운영방안 연구 및 마스터플랜 수립] (책임연구원 / 발주 : 수원문화재단) 2014.5.-10. [등급분류제도의 유통관련 개선방안 연구 ; 디지털 매체융합 환경에서의 콘텐츠 등급정보 표시 방안의 제안](공동연구원 / 발주 : 한국대중문화산업연합회) 2014.5.-10. [정책 모듈화 연구-게임산업](공동연구원 / 발주 : KDI) 2013.6.-12. [모델 현황 표본 조사 및 표준계약서 연구] (책임연구원 / 발주 : 문화체육관광부 / 주관 : 한국모델협회) 2012.7.-12. [연예기획사 전수조사](연구책임 / 발주 : 문화체육관광부 / 주관 : 한국연예제작자협회) 2012.1.-3. [게임과몰입 평가모델 연구](책임연구원 / 발주 :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11.-2012.2. [연예매니지먼트산업 수익구조 연구](공동연구원 참여/발주 :문화체육관광부) 2011.8.-12. [국내 콘텐츠산업의 중국시장 진출을 위한 중국의 규제문제 분석](공동연구원 참여/발주 : KISDI) 2010.10.-12.[연예매니지먼트산업 실태조사 및 환경 개선 방안 연구](책임연구원 참여/발주 : 문화체육관광부) 2010.10-12. [사회과학 미래 아젠다 연구](공동연구원 참여/주관 : 연구재단) 2010.5.-10 [앱이코노미 시대의 일자리 창출 방안 연구](공동연구원 참여/주관 : 창조경제연구원) 2006.2.-2007.2. [게임산업진흥법 시행에 따른 게임산업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한국게임산업협회) 2005.7. [교육용 게임의 효과성 연구](한국게임산업개발원․강원대학교 CT-Nuri 문화인력양성사업단) 2005.5.-2006.2. [문화원형 활성화 방안 연구[(인문학콘텐츠연구회․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2005.3. [문화상품의 해외 진출 활성화 방안 연구](국회 문화관광위원회) 2004.12.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유형 및 직종분석](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4 [문화도시 육성 방안 연구](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2.10. [건전 가족문화 정립을 위한 여가활용 연구](여성부) 2002.8. [문화원형 콘텐츠 수요 조사](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2.3.-6. [동북아지역에서의 한국 문화산업 활성화 및 협력방안연구](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2.1.-7. [청주 에듀테인먼트 산업 진흥을 위한 기본계획 연구](청주시․한국게임산업개발원) 2002.1.-2. [전주세계소리축제에 관한 도민의식조사](전북대 사회과학연구소) 2000.3.-11. [전라북도 문화발전 중장기 계획](전라북도․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9 [전국문화인프라 종합정보네트워크 구축 방안 연구](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6-1997 [청소년 여가문화 및 소집단 활성화방안 연구](아산재단) 1994-1995 [서울 도시문화발전 중장기 기본계획](서울시정개발연구원) - 도시문화발전 중장기 프로그램 개발 담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