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성과/실적

  • 소개 영상
  • 사업단장인사말
  • 사업단목표
    • 비전
    • 교육과정
    • 연구
    • 산학협력
  • 사업단구성
    • 구성도
    • 세부연구주제
    • 참여교수
  • 주요발전과정
  • 사업비운영/관리
    • 집행요령
  • 최근 성과 및 실적
  • 사업단 보고서

국제협력프로그램

대학원 교육의 국제화 실적                                                        
                                                                                                    (2016-1학기 기준)    
대학원 교육의 국제화 실적
개설 교과목 중 외국어 강좌 비중 외국인 교수 및 대학원생 현황
개설과목 총 수 외국어 강좌 수 비중(%) 외국인 교수
비중(명, %)
외국인 대학원생
비중(명, %)
10 10 100 1(3.1%) 12(10.3%)

 

<표 1> 대학원 교육의 국제화 실적

대학원생 교육․연구의 국제화를 위한 노력
  • -2016 Ajou-Kyoto Joint Symposium on Energy Science
  •  사업단의 벤치마킹 대학인 일본 교토대학과의 12회째 공동 심포지엄으로 Kyoto 대학교 교수 4명과 박사 과정 생 5명이 아주대를
  •  방문하였으며, 본교에서는 교수 10여명과 학생 20명이 참석하여 총 24편의 구두 및 포스터 발표가 진행되었다.

 

 -2015 Kyoto-Ajou Joint Symposium on Energy Science

  2015년 2월 26일부터 28일까지  참여교수 3명과 참여대학원생 6명이 일본 Kyoto University Yosida 캠퍼스를 방문하여 심포지엄

  을 진행하였다.

 

 -제1회 Ajou-Chiba 대학교 공동 워크샵 개최

  2014년 12월 11일부터 13일까지 3일간 9명의 본 사업단 소속 교수들과 17명의 대학원생들이 Chiba University를 방문해 공동

  워크샵을 진행하였다. 이번 워크샵에서는 양측 교수들의 연구활동 및 결과에 대한 소개를 시작으로 오후에는 양측 학생들의

  포스터 프레젠테이션이 진행되었다.

  

  • -2014 Kyoto-Ajou Joint Symposium on Energy Science

  사업단의 벤치마킹 대학인 일본 교토대학과의 지속적인 교류 사업의 일환으로 참여 교수 10명과 참여 대학원생 14명이 2014년

  2월 24일부터 26일까지 교토대를 방문하여 심포지움을 진행하였다. 참여 대학원생들은 학술 발표를 통해 다양한 에너지 관련

  분야의 경험과 지식 등을 교류함으로써 연구 역량을 키우고 국제적 경쟁력을 강화하는 기회가 되었다.양교가 비슷한 연구 분야를

  공유하고 있는 특성상 서로간의 비교와 평가를 통해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으며, 교육과 연구에서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앞으로도 노력하기로 하였다.

 

  •  
  • - 일본 Kyoto대학과 공동 심포지움 개최
    • 본 사업단이 벤치마킹 대상으로 하고 있는 일본 교토대학과 공동으로 2011년 8월 ‘3rd G-COE International Symposium(Specially Jointed with BK21 Program at Ajou University)-"ZERO CARBON ENERGY 2011"’과 ‘Ajou University and Kyoto University Joint Symposium on Material and Processing of Energy Systems'을 아주대학교에서 개최하였고, 2012년 1월에는 일본 교토대학교에서 ’Ajou-KIT-Kyoto University Joint Symposium'를 개최하여 연구결과를 교류함으로써 벤치마킹 대상 학교와 꾸준한 교류도 이어갔음.
  • - AJOU-VIETNAM WORKSHOP
    • 2008년 5월 30일(금) 개최된 AJOU-Vietnam Workshop은 이미 교류를 시작한 Vietnam의 주요 대학 및 연구소와의 유대를 강화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행사로서 우수 대학원생 선발에 협조해준 교수 및 연구자들을 초청하여 상호 공동관심 연구부분에 대하여 의견을 나누고, 이로부터 실질적인 국제공동연구 관계를 창출하였다. 향후 아주대에서 학위를 받은 베트남 학생들을 연결고리로 삼아 지속적인 국제협력과 공동연구가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아래의 교수들이 Workshop에 참가하여 자리를 빛내주었다.
      1. 1) Prof. Dr. Nguyen Nang Dinh: Dean, Faculty of Engineering Physics and Nanotechnology, College of Technology, VNU-Hanoi
      2. 2) Prof.Dr. Ngo Thi Thanh Tam : Institute of Materials Science, Vietnamese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VAST)
      3. 3) Prof. Dr. Nguyen Dai Hung: Director, Institute of Physics, Vietnamese Acedemy for Science and Technology (VAST)
      4. 4)Assoc. Prof. Dr. Hoang Zung: Director of R&D Department, VNU-HCMC
      5. 5) Assoc. Prof. Dr. Nguyen Thi Phuong Thoa: Department of Chemistry, University of Natural Science, VNU-HCMC
  • - Professor Sir John Pendry 초청강연
    • John Pendry 교수는 Negative Index Material이라는 개념을 새로 창안하여 투명망토나 완벽한 렌즈와 같은 꿈에서나 그리는 응용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인 분으로, 영국에서 노벨물리학 수상에 현재 가장 가까이 위치한 것으로 알려진 있으며 2004년에 여왕으로부터 작위를 수여 받기도 하였다. 본 사업단은 2008년 4월 18일(금) John Pendry교수의 초청강연을 주최하였으며, 강연 내용은 아래와 같다.
      • 강연초록 : Refractive materials gives us some limited control of light; we can fashion lenses, and construct waveguides, but complete control of light is beyond simple refracting materials. Ideally, we might wish to channel and direct light as we please just as we might divert the flow of fluid. manipulation of Maxwell's equation shows that we can achieve just that provided we have access to some highly unusual material properties. Metamateials open the door to tjis new design paradigm for optics and provide the properties required to give complete control of light. One potential application would be to steer light arounf a hidden region, returning it to its original path on the far side. Not only would observers be unware of the contents of the hidden region, they would not even be aware that something was hidden. The object would have no shadow.
  • -일본 APERC 세미나
    • 일본 동경에서 2005년 5월에 열린 APERC 에너지·경제 세미나에 석·박사과정 학생 3명이 참가하여 “신·재생에너지시스템 경제성분석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과제의 일환으로 개발된 신재생 에너지 경제성분석 프로그램(REVAP) 홍보 및 교육을 실시하고 향후 공동 연구를 논의하였다. 참석한 김유진, 하정우, 김환용 3인은 각각 자원경제학회와 산업자원부 공동주최 제1회 에너지주간 대학(원)생 논문공모 우수상, 제1회 기후변화협약관련 대학(원)생 논문공모 우수상(부상으로 부에노스아이레소 COP 10회의 참석), 그리고 에너지공학회 경제,정책분야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 - 덴마크 UNEP RISOE 파견 연구
    • 2005년 2월 덴마크 UNEP RISOE에 석사과정 학생 1명이 파견되어 일주일 동안 "신재생 에너지시스템 경제성분석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과제의 일환으로 도서지역 신·재생에너지 경제성분석 프로그램인 Hybrid optimization model for electric renewables 교육과정을 이수하였다. 참석자 장하나는 제2회 기후변화협약관련 대학(원)생 논문공모 대상(산업자원부 장관상, 부상으로 몬트리올 COP 11회의 참석)을 수상하였다.
  • - 미국 Rutgers 주립대 세미나
    • 2005년 7월에는 교수 1명과 석사과정 학생 1명이 미국 Rutger 주립대를 방문하여 "신·재생에너지시스템 경제성분석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과제의 일환으로 개발된 신재생 에너지 경제성 분석 프로그램(REVAP)의 홍보 및 교육을 실시하고 향후 공동연구를 논의하였다.
  • - 미국 Northwestern 대학 단기 연수
    • 2005년 1월과 2월에 각각 1명의 석사과정 학생은 1개월과 2개월 동안 Northwestern 화학과 연구팀에서 에너지관련 기능성 신소재연구로 단기연수를 마쳤다.
  • - 미국 Northwestern 대학 장기 연수
    • 2005년 1월에 석사과정 학생 1명은 5개월 동안 Northwestern 화학과 연구팀에서 에너지관련 기능성 신소재에 관한 공동연구를 수행하였다.
  • - 독일 Max Born 연구소 단기 연수
    • 2004년 7월에 4주간에 걸쳐 석사과정 학생 2명은 독일 베를린의 Max Born 연구소를 방문하여 효율적 광자에너지 변환에 관한 실험 연수를 다녀왔다.
  • - 중국 칭화대 연구실 방문
    • 2003년 8월에 석사과정 학생 2명은 중국 칭화대 세라믹 연구실을 방문하여 공동실험을 수행하고 향후 공동 연구를 논의하였다.

빠른 이동 메뉴

quick
  • potal
  • 중앙도서관
  • E클래스
  • 학사정보
  • 장학정보
  • 증명서발급
  • 취업정보
  • 헬프데스크
글자화면확대화면축소top
아주대학교
  • 우)16499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206 아주대학교 에너지시스템사업단(D1) TEL.031-219-2206
  • COPTRIGHT(C)2013 The Department of Energy Systems Research. All Right Reserved.
  • 담당자에게 메일 보내기[새창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