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성과/실적

  • 소개 영상
  • 사업단장인사말
  • 사업단목표
    • 비전
    • 교육과정
    • 연구
    • 산학협력
  • 사업단구성
    • 구성도
    • 세부연구주제
    • 참여교수
  • 주요발전과정
  • 사업비운영/관리
    • 집행요령
  • 최근 성과 및 실적
  • 사업단 보고서

위원회

BK21플러스 융합기반 에너지시스템사업단 정책 위원회

본 위원회는 부총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BK 사업단장을 중심으로 2개의 분과위원회를 구성하여 업무의 효율화를 기하였다. 각 분과위원회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국제자문위원회( International Advisory Commitee)
외국인으로 에너지 분야에서 인정을 받고 있는 저명한 학자를 초빙하여 객관적인 관점에서 국제적인 평가기준에 따라 사업단의 학사내용, 연구업적 등을 평가받거나 학위논문 심사위원으로 위촉한다. 또한 사 업단 내의 그룹별 평가를 통하여 평가결과에 따라 사업단은 연구시설 및 대학원생의 지원에 차등을 둔다.
국제자문위원회(International Advisory Committee)의 표
국적 성명 소속 및 직책
일본 Keiichi Ishihara 일본 교토대 에너지과학대학원 교수
싱가포르 Kim Choon Ng 싱가포르 국립대학 기계공학과 교수
중국 Guangwen Xu 중국과학원 공정기술원 교수
스웨덴 Valdas Pasiskevicius 스웨덴 왕립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미국 Sonny Kim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 박사
홍콩 Songnian Chen Hong Kong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교수
일본 Takashige Omatsu 일본 치바대 Graduate School of Advanced Integration Science 교수
산학협력위원회
사업단 내의 연구그룹별로 연구팀을 구성하고 산업체와 연계하여 실질적인 산학연 공동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업체의 기술적 애로사항을 파악하여 연구팀과 협력할 수 있도록 하며 연구 자금을 조성하여 질 높은 연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BK21플러스 사업비 중 산학협력 대응자금의 유치 및 활용방안을 논의·추진하며, 대응자금의 활용을 위한 산학협력과제의 선정 및 평가 등 산학협력과 관련한 일들을 수행한다. 또한 사업단의 교육 내용을 산업체에서 필요한 부분을 포함하도록 하며 졸업생들의 취업과 관련된 부분도 이 위원회에서 논의한다.
  • 산학협력위원회의 구성
    • 사업단장
    •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장
    • 사업단 참여교수
    • 참여기업 실무 책임자
BK21플러스 융합기반 미래형 에너지시스템사업단 운영 위원회

본 위원회는 사업단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사업단의 운영에 관한 주요 사항을 논의·결정하고 집행한다. 특히 사업단의 장기적인 운영 방안은 전체 운영위원회에서 논의되며 교육, 연구, 시설과 관련된 사항은 관련 소위원회를 구성하여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조직을 만든다. 위원회의 운영은 사업단 세부 규칙에 따르며, 4개의 분과위원회를 구성하여 업무의 효율화를 기하였다. 사업단의 참여교수 및 연구원의 업적평가 결과를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집행한다. 각 분과위원회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 위원회
학제적인 성격이 강한 에너지 분야의 특성을 감안하여 에너지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에너지 관련 분야에 대한 전반적 이해의 폭을 넓히고, 학위 취득 후 현장에서 실무를 담당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편성하여 효율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주로 논의될 사항은 다음과 같다.
  • 벤치마킹 대학의 학사운영을 참조로 한 교과과정의 개선 방향 논의
  •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하나의 에너지 분야로 통합하기 위한 교과목 개발
  • 학부전공이 다양한 대학원생들을 에너지 전문가로 육성하기 위한 학사과정 논의
  • 산업체와의 연계 교육과정을 학점화하는 제도 논의
  • 에너지 분야의 국내외 교육기관과의 교환학점 인정에 관한 사항 논의
연구심의 위원회
사업단 내의 연구방향 조정 및 학내의 연구 지원기관과의 협력과 관련된 부분들을 논의한다. 국내외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연구교류를 활성화하여 상호 에너지 관련 관심 영역을 다변화하고, 공동연구 추진 및 연구자료의 교환 등 실질적인 교류를 촉진하기 위한 사항을 논의한다.
시설위원회
효율적인 교육과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자재 확보 방안과 시설의 재배치 및 확보 방안에 관련된 사항을 논의한다. 고가의 장비에 대한 활용 방안을 마련하고 장비 관리, 유지, 보수와 관련된 사항을 논의한다.
홍보위원회
사업단의 활동 사항을 인터넷 및 여론매체를 통하여 교?내외 홍보하며, 신·제생에너지 사용, 에너지 이용 합리화, 에너지 청정화 등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확산시키는 노력을 한다.
BK21플러스 융합기반 미래형 에너지시스템사업단 평가 위원회

본 위원회는 사업목표 및 사업계획에 부합하도록 사업단이 운영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외부평가위원회와 자체평가위원회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외부평가위원회
본 사업단이 벤치마킹을 하고 있는 교토대학 교수 2인과 국책연구기관, 산업체 및 국내 에너지분야의 전문가를 포함한 10인 내외로 구성되며, 사업단의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전략을 평가한다. 외부평가위원회 위원들은 본 사업단을 방문하여 현장을 실사하고, 필요한 경우 참여 연구원들과의 면담을 거쳐 평가회의를 개최하고 회의록과 보고서를 작성한다. 평가회의록과 평가위원의 보고서는 외부평가보고서의 형태로 작성되어 참여 연구원들과 교내외의 관련 연구자들에게 송부되고, 평가결과를 정책위원회의에 보고한다.
자체평가위원회
사업 단장과 과제 책임 교수 및 관련 분야의 교내 인사와 관련 학회, 협회, 연구소 및 공공기관 전문가 1인 이상을 포함한 10인 내외로 구성되며, 교육, 연구, 산학협력, 국제화 영역에서 사업단 참여 교수와 신진연구원 및 학생의 업적을 계량화하고, 커리큘럼 개설, 외국인 교수 초빙 등 개인의 영역이 아닌 사업단의 활동에 대하여서도 평가한다. 업적평가의 결과는 자체평가위원회에서 정리하여 운영위원회에 보고하며, 운영위원회는 성과급을 위시한 인센티브의 제반업무를 집행한다.

빠른 이동 메뉴

quick
  • potal
  • 중앙도서관
  • E클래스
  • 학사정보
  • 장학정보
  • 증명서발급
  • 취업정보
  • 헬프데스크
글자화면확대화면축소top
아주대학교
  • 우)16499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206 아주대학교 에너지시스템사업단(D1) TEL.031-219-2206
  • COPTRIGHT(C)2013 The Department of Energy Systems Research. All Right Reserved.
  • 담당자에게 메일 보내기[새창열림]